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지자체 맞춤형 프로그램 소개

“주문은 키오스크(무인 안내·주문 기기)로 해주세요.”

식당, 카페, 영화관, 기차역까지. 이제는 우리 일상 어디에서나 키오스크를 마주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스마트폰 앱으로 장을 보고, 은행 업무를 처리하는 것도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죠. 하지만 이처럼 눈부시게 발전하는 디지털 세상이 모두에게 편리하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특히 어르신이나 장애인 등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오히려 보이지 않는 높은 장벽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지자체)가 소매를 걷어붙였습니다. 단순히 컴퓨터 기초를 가르치는 수준을 넘어, 우리 동네 주민들의 연령, 특성, 필요에 꼭 맞춘 ‘맞춤형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앞다투어 선보이고 있습니다. 더 이상 망설이고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 동네에서는 어떤 알찬 디지털 교육을 무료로 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인 우수 사례를 통해 꼼꼼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지자체 맞춤형 프로그램 소개

1. 모든 디지털 교육의 시작, 든든한 국가대표 ‘디지털배움터’

각 지역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알아보기 전에, 전국적인 디지털 격차 해소 사업의 뿌리가 되는 ‘디지털배움터’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운영하는 디지털배움터는, 전 국민 누구나 집 근처에서 무료로 양질의 디지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가 공인 사업입니다.

구분 상세 내용
주요 대상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 장애인, 다문화가정 등 모든 국민
교육 장소 전국 주민센터, 도서관, 복지관, 경로당 등 가까운 생활 SOC 공간
교육 내용 스마트폰 기초부터 키오스크, 모바일 뱅킹, 유튜브, 인공지능(AI)까지 수준별·주제별 맞춤형 교육
신청 방법 디지털배움터 홈페이지(www.디지털배움터.kr) 또는 전화(☎ 1800-0096)

대부분의 지자체 맞춤형 프로그램은 바로 이 ‘디지털배움터’ 사업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지역 특색을 더한 한층 발전된 형태로 운영됩니다. 이제 각 지자체가 어떤 아이디어로 주민들에게 다가가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만나보겠습니다.


2. 지자체별 특화 프로그램 우수사례: 우리 동네는?

[서울] 교육·체험·상담을 한 곳에서! 복합 문화 공간 ‘디지털동행플라자’

서울특별시는 어르신 등 디지털 약자를 위한 전용 공간인 ‘디지털동행플라자’를 서북권(은평구)과 서남권(영등포구)에 개관하여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곳은 딱딱한 교육 공간이 아니라, 디지털 기술을 놀이처럼 즐겁게 체험하고 어려움을 즉시 상담할 수 있는 신개념 복합 문화 공간입니다.

① 배우는 즐거움! 수준별 맞춤형 교육

  • (기초 과정) 스마트폰 글자 크기 조절, 와이파이 연결 등 왕초보를 위한 1:1 맞춤 과정
  • (생활 과정) 카카오톡으로 손주에게 선물 보내기, 기차표 예매하기, 배달 앱으로 음식 주문하기 등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과정
  • (심화 과정) 유튜브 크리에이터 도전하기, AI 챗GPT로 시나 소설 써보기 등 새로운 도전을 위한 전문가 과정

② 노는 것처럼 신나게! 오감만족 디지털 체험

  • 로봇 바리스타가 직접 커피를 내려주는 무인 카페
  • 세계 명소를 배경으로 인생 사진을 남기는 AI 포토존
  • 게임을 즐기며 두뇌 건강과 인지 능력을 향상하는 해피테이블
  • 3D 체형 분석기로 맞춤형 운동 처방을 받는 디지털 헬스케어존

③ 어디든 찾아가는 해결사! ‘디지털 안내사’

주황색 조끼를 입은 ‘디지털 안내사’가 지하철역, 공원, 전통시장 등 어르신들이 자주 찾는 장소로 직접 방문합니다. 키오스크 사용법부터 스마트폰 앱 활용법까지,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그 자리에서 1:1로 속 시원하게 해결해 드립니다.

[부산 동구] 청년, 중장년, 노년 세대별 맞춤 교육 ‘배터리(Better-Re)’

부산광역시 동구는 연령대별로 필요한 디지털 역량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세대별로 교육 과정을 완벽하게 분리한 맞춤형 프로그램 ‘배터리(Better-Re)’를 운영합니다. 내게 꼭 필요한 교육만 골라 들을 수 있어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 청년 (Better-Life): 취업과 창업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AI 활용 능력, 빅데이터 분석, 디지털 마케팅 등 전문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춥니다.
  • 신중년 (Re-Life): 재취업과 성공적인 인생 2막 설계를 위해 스마트워크(원격근무) 방법, 온라인 쇼핑몰 창업, SNS를 활용한 홍보 등 제2의 직업을 찾는 데 필요한 기술을 지원합니다.
  • 노년 (Life-Reset): 키오스크, 모바일 뱅킹, 건강관리 앱 사용법 등 디지털 세상에서 더 편리하고 안전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디지털 기초 교육을 중심으로 진행합니다.

[수원] 궁금한 디지털? 경로당으로 직접 찾아가는 ‘궁D’ 생활문해교실

경기도 수원시는 어르신, 다문화가족 등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해 ‘궁금한 Digital’이라는 재미있는 의미를 담은 ‘궁D’ 생활문해교실을 운영합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하거나 교육장까지 찾아오기 힘든 어르신들을 위해 경로당이나 복지관으로 ‘찾아가는 교육’을 활발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 생활 밀착형 주제 선정: 스마트폰으로 병원 진료 예약하기, 모바일 뱅킹으로 자녀에게 용돈 보내기, 키오스크로 음식 주문하기 등 당장 실생활에 유용한 내용 위주로 커리큘럼을 구성합니다.
  • 어르신 눈높이 교육: 전문 강사가 어르신들의 눈높이에 맞춰 어려운 용어는 빼고, 될 때까지 반복 학습과 실습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여 포기하는 사람 없이 모두가 따라올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문턱 없는 교육 장소: 경로당, 행정복지센터, 도서관 등 집에서 5분 거리, 내게 가장 익숙하고 편안한 장소에서 교육이 열려 누구나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3. 우리 동네 디지털 교육, 망설이지 말고 지금 바로 참여하세요!

위에 소개된 빛나는 사례들 외에도 전국의 수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특색있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열정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세상이 나만 빼고 빠르게 달려가는 것 같아 불안하고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더 이상 혼자 고민하며 속상해하지 마세요. 내가 사는 지역의 구청이나 주민센터 홈페이지에 방문하거나, 디지털배움터 사이트(www.디지털배움터.kr) 또는 콜센터(1800-0096)를 통해 우리 동네에서 열리는 유익한 무료 교육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키오스크 앞에서 망설이는 대신 당당하게 주문하고, 스마트폰으로 세상의 모든 정보와 소통하며 더 편리하고 풍요로운 일상을 누릴 권리가 우리 모두에게 있습니다. 작은 용기를 내어 지금 바로 문을 두드려보세요. 당신의 디지털 라이프가 전문가처럼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입니다.

댓글 남기기